ORBIT 체인의 이해
맞춤형 전용 체인을 만들 수 있는 솔루션
L2 or L3 체인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, 사용자가 처리량, 프라이버시, 가스 토큰, 거버넌스 등 다양한 요소를 직접 설정할 수 있음
주요 목적
이더리움 브록 공간 수요 증가로 인한 네트워크 혼잡과 비용 문제 해결
-> Rollup 과 AnyTrust 프로토콜로 이더리움의 부하를 효과적으로 분산
핵심 특징
1. 전용 처리량 확보 : DApp이 고성능이나 일관된 리소스 가용성을 필요로 할 때, Orbit 체인에서 실행하면 다른 앱들과 리소스 경쟁 없이 전용 자원을 사용할 수 있음 -> 성능 향상
2. EVM+ 호환성 제공 : Solidity, C, C++, Rust 등 다양한 언어로 EVM 호환 스마트 컨트랙트를 배포할 수 있음
3. 독립적인 제품 로드맵 : 이더리움이나 Arbitrum의 공개 로드맵과 별개로 자체 로드맵을 가짐 -> 계정 추상화와 같은 최신 기능을 다른 프로젝트보다 앞서 구현할 수 있으며, 특정 요구사항에 맞춰 빠르게 발전할 수 있음
4. 가스 가격 안정성 향상 : Arbitrum L2와 이더리움 L1 트래픽과 격리되어있기 때문에, 더 안정적이고 예측 가능한 가스 가격 제공 -> 계정 추상화와 같은 고급 기능 구현이 용이해짐 (비용이 많이드는 메커니즘을 테스트하기 좋음)
5. 맞춤형 가스 토큰 사용 지원 : AnyTrust 체인에서 지원되며, 네트워크 가스 수수료로 대체 ERC-20 토큰을 사용할 수 있음 -> 프로젝트별 고유한 토큰 경제 설계 가능
6. 프로토콜 로직 커스터마이징 : 체인의 정산, 실행, 거버넌스 프로토콜의 로직을 특정 요구사항에 맞게 수정 가능 -> 이더리움의 강력한 보안을 유지하면서 각 프로젝트의 고유한 니즈 충족
Anytrust
Arbitrum Nitro 기술의 변형으로, 약간의 신뢰 가정을 받아들임으로써 비용을 낮추는 시스템
- 기존 Arbitrum 프로토콜 : 모든 L2 트랜잭션 데이터를 L1 이더리움에 게시
- Anytrust : 대신 외부 데이터 가용성 위원회 (Data Availability Committee) 사용
Data Availability Committee
N명의 구성원으로 이루어져 있으며, 이 중 최소 2명이 정직하다고 가정
-> N-1 명의 위원회 구성원이 데이터 제공을 약속하면, 그 중 한명은 정직한 구성원이라고 믿을 수 있음
Data Availability Certificate (DACert)
데이터 블록의 해시, 만료 기간, N-1 명의 위원회 구성원이 서명했다는 증명을 포함
해당 데이터가 최소한 만료 시간까지는 이용 가능하다는 것을 보장
시퀀서는 데이터 블록을 L1 에 게시할 때 전체 데이터를 게시하거나 DACert를 게시
-> L2 코드는 DACert 의 유효성을 검증 -> 유효하면 데이터 블록을 읽음
위원회 구성원들은 Data Availability Servers (DAS) 소프트웨어를 운영
DAS : 시퀀서 API (시퀀서가 데이터 블록을 저장하기 위해 사용), REST API (누구나 해시로 데이터 블록을 가져올 수 있게 함) 제공
시퀀서가 충분한 서명을 모으지 못하면, "롤업으로의 폴백"이 발생
-> 전체 데이터를 직접 L1 체인에 게시
'아티클 (Article) > 루디움 렉처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루디움 렉쳐] 이더리움 베이직_kingyoungdae 학습 내용 정리 (트랜잭션 살펴보기) (0) | 2024.09.19 |
---|---|
[루디움 렉쳐] 아비트럼 딥다이브_9oodam 학습 내용 정리 (2주차_2) (0) | 2024.09.12 |
솔리디티 디앱 만들기_ihyeongjin 학습 내용 정리 (6) | 2024.09.08 |
[루디움 렉쳐] 러스트 베이직_9oodam 학습 내용 정리 (1주차) (3) | 2024.09.06 |
[루디움 렉쳐] 아비트럼 딥다이브_9oodam 학습 내용 정리 (1주차_1) (0) | 2024.09.06 |